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에제키엘서
- 열왕기 하권
- 역대기 상권
- 이사야서
- 사무엘 상
- 복수초
- 구약성경 시편
- 열왕기 상권
- 욥기
- 묵시록
- 잠언
- 사도행전
- 역대기 하권
- 천주교를 알립니다.
- 백두산
- 사무엘기 하권
- 신명기
- 강산
- 노루귀
- 민수기
- 백두산 야생화
- 얼레지
- 가톨릭 기본교리
- 예레미야서
- 야생화
- 여호수아기
- 요한 묵시록
- 집회서
- 사무엘 하
- 사무엘기 상권
- Today
- Total
비오의 쉼터
25. 그리스도인의 생활양식 본문
그리스도인의 생활양식
1. 그리스도인의 첫째가는 계명
2. 평신도 사도직(평신도의 소명) 하느님은 기쁜 소식을 세상에 전하고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가운데 하느님 나라를 건설하도록 모든 그리스도인을 부르셨다. 즉 세례를 통해서 하느님은 모든 그리스도인이 당신의 예언자요 사제이며 왕이 되도록 부르셨다. 이것을 우리는 평신도 사도직이라고 한다.
개개인이 평신도 사도직을 수행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으나 평신도 사도직을 위한 단체도 있다. 많은 이들이 신심회, 자선단체, 사도직회, 혹은 제3회 등에 가입함으로써 사도직을 위한 교육에 도움을 받는다. 이런 단체를 통하여 평신도는 성직자와 보다 더 직접적이고 밀접히 협력하게 되고, 교회 일치와 공동체적 성격을 잘 조화시키면서, 교회가 사도적 목표를 향하는 데에 자신들의 기술과 경험을 바치게 된다.
3. 수도 소명 모든 사람은 계명을 충실히 지킴으로써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좀더 훌륭한 삶에 대한 갈망을 느끼는 사람은 좀더 큰 자유 안에서 하느님께 접근할 수 있기 위하여, 그리스도를 따라 세상의 것을 포기하고 하느님 안에 살고자 한다. 그래서 수도생활에 들어가는 이들은 완덕에 대한 복음적 권유 즉 정결, 가난, 순명을 지키기로 맹세한다.
가난의 서원으로써 수도자는 개인재산이나 재산관리를 포기하여, 우리를 위하여 가난해지신 그리스도를 본받고(2고린토 8,9), 세상 물건에 대한 과도한 사랑을 피하며, 또한 그리스도의 가난하고 미소(微少)한 많은 형제들에게 위로와 도움이 되려고 한다.
4. 관상 수도회 세계와 인류 전체를 위하여 의미있는 일들 중에서 기도, 순명, 극기, 고립, 침묵의 생활에 자신을 바치는 것이 가장 좋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교회는 언제나 '쇄신'에 착수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관상 수도회가 "그리스도의 신비체 안에서 항상 뛰어난 역할을 감당하였다"고 교회는 주장한다.
|
'[♡ 자유와 평화 ♡] > 가톨릭 基本敎理'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가치있는 생활 (5·6·8·9 계명) (0) | 2011.06.07 |
---|---|
24. 의로운 사회 건설 (4·7·10 계명) (0) | 2011.06.05 |
26. 은총과 신성(神性)에의 참여 (0) | 2011.06.03 |
27. 그리스도와 기도생활 (0) | 2011.06.02 |
28. 개인기도와 전례기도 (0) | 201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