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강산
- 노루귀
- 복수초
- 묵시록
- 구약성경 시편
- 역대기 상권
- 집회서
- 욥기
- 사무엘 상
- 사무엘기 상권
- 천주교를 알립니다.
- 사무엘 하
- 사도행전
- 사무엘기 하권
- 백두산 야생화
- 얼레지
- 여호수아기
- 역대기 하권
- 신명기
- 예레미야서
- 이사야서
- 요한 묵시록
- 야생화
- 잠언
- 열왕기 상권
- 에제키엘서
- 민수기
- 백두산
- 열왕기 하권
- 가톨릭 기본교리
- Today
- Total
비오의 쉼터
27. 그리스도와 기도생활 본문
그리스도와 기도생활
◈ 기도란 무엇인가?
1. 기도하는 이의 모범이신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말씀은 우리의 생활에 있어 기도가 제일 윗자리를 차지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루가 복음은 기도하시는 그리스도를 자주 묘사한다(루가 3,21 - 온 백성이 세례를 받은 뒤에 예수님께서도 세례를 받으시고 기도를 하시는데, 하늘이 열리며 - ; 5,16 -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외딴곳으로 물러가 기도하셨다. - ; 9,29 - 예수님께서 기도하시는데, 그 얼굴 모습이 달라지고 의복은 하얗게 번쩍였다. - ; 10,21 - 그때에 예수님께서 성령 안에서 즐거워하며 말씀하셨다. “아버지, 하늘과 땅의 주님,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에게는 이것을 감추시고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아버지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렇습니다, 아버지! 아버지의 선하신 뜻이 이렇게 이루어졌습니다.” - ). 그리스도는 중대한 행동이나 사목 활동을 하기 전에 드러나게 혹은 은밀하게 기도하셨다(루가 4,1 - 예수님께서는 성령으로 가득 차 요르단 강에서 돌아오셨다. 그리고 성령에 이끌려 광야로 가시어, - ).
2. 기도의 3가지 효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하면 기도의 효과는 세 가지인데 첫째, 기도는 하느님의 은총뿐 아니라 다른 혜택을 얻게 하여 마음이 영성적으로 원기를 얻게 한다.
3. 기도의 정의(定義) 가톨릭은 전통적으로 기도는 '사람의 마음과 정신을 하느님께로 향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기도할 때에 우리는 마음과 정신을 하느님께로 돌리고, 그분을 흠숭하고 감사하며, 그분에게 은혜나 용서를 청한다.
4. 기도의 4가지 종류 목표나 이유에 따라 기도는 네 종류가 있다. 기도에 있어 이와 같은 요소는 서로 겹치는 것이 보통이다. 하느님께 향한 모든 참된 기도는 자연스럽게 흠숭, 감사, 통회가 포함되어 있다.
5. 무엇을 청할 것인가? 자기 중심적인 사람은 무엇을 원할 때에만 하느님께 나아가 청하고서 그것을 즉시 얻지 못하면 하느님을 원망하거나 기도를 중단한다. 이것은 분명히 비그리스도교적인 태도이다. 하느님은 언제나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고, 당신 자녀들에게 좋은 것을 주시려 하신다(루가 11,13 - 너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성령을 얼마나 더 잘 주시겠느냐?” - ). 그러나 우리는 가끔 눈 앞에 당장 보이는 이익에 사로잡히거나 인간적인 생각으로 해로운 것을 청하기도 한다. 그러면 무엇을 위해서 기도해야 하는가?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을 하느님께 청하는 것은 타당하다.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은 무엇이나 청원기도의 대상이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느님께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주님의 기도 정신에 따라 우리는 하느님의 영광, 하느님 나라의 오심, 인간이 하느님의 뜻을 완수하는 것, 구원을 위해서 필요하고 유익한 은총을 청해야 한다. 그리스도인은 구체적 물건이나 재산을 위해서 기도할 때에는 조심해야 한다. 그것이 구원에 도움이 되면 기도로써 청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은 구원에 해로운 것을 하느님께서 주시리라고 기대할 수 없다.
6. 참된 기도를 위한 기도자의 자질
7. 기도의 대상 그리스도인은 하나이시며 삼위이신 하느님께 기도한다. 삼위 모두에게나 삼위 중 한분에게 기도를 드릴 수 있다(요한 14,14 - 너희가 내 이름으로 청하면 내가 다 이루어 주겠다.” - ). 우리의 기도는 최종적으로 하느님께 바치는 것이고, 성모와 천사와 천상 성인을 향한 기도는 하느님 앞에서 우리를 위해 전구해 주도록 청하는 것이다(교회헌장 50). 그래서 우리는 하느님에게 절대적 예배를 드리는 가운데 "자비를 베푸소서"라고 기도를 드린다. 성모와 성인에게는 다른 종류의 공경을 드리면서 "저희를 위하여 빌으소서"라고 그들에게 청한다. (교회헌장 67) |
'[♡ 자유와 평화 ♡] > 가톨릭 基本敎理'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그리스도인의 생활양식 (0) | 2011.06.04 |
---|---|
26. 은총과 신성(神性)에의 참여 (0) | 2011.06.03 |
28. 개인기도와 전례기도 (0) | 2011.06.01 |
29. 파스카 신비와 성사 생활 (0) | 2011.05.31 |
30. 세례성사 (洗禮聖事) (0) | 2011.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