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예레미야서
- 역대기 하권
- 야생화
- 얼레지
- 집회서
- 요한 묵시록
- 욥기
- 묵시록
- 사무엘 하
- 백두산 야생화
- 사무엘기 상권
- 노루귀
- 에제키엘서
- 민수기
- 구약성경 시편
- 잠언
- 사무엘기 하권
- 이사야서
- 사무엘 상
- 여호수아기
- 가톨릭 기본교리
- 백두산
- 복수초
- 신명기
- 천주교를 알립니다.
- 역대기 상권
- 사도행전
- 열왕기 상권
- 강산
- 열왕기 하권
- Today
- Total
비오의 쉼터
29. 파스카 신비와 성사 생활 본문
파스카 신비와 성사 생활
◈ 그리스도는 어디에 현존하시는가?
1. 그리스도의 현존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하느님이 그리스도를 통해서 전례 안에 현존하신다고 했다. "그리스도께서는 성교회 안에 특히, 전례행사 안에 항상 현존하신다. 그리스도께서는 미사성제에 있어서 특히 성체 형상 안에 현존하시지만, 사제의 인격 안에도 현존하신다. 그리스도께서는 성사 안에서 그 능력으로써 현존하시기 때문에 누가 세례를 줄 때에는 그리스도께서 친히 세례를 주시는 것이다"(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7).
2. 파스카 신비 교회의 전례는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계속적으로 재현하며, 따라서 파스카 신비는 교회 전체의 중심을 이룬다. 그리스도께서는 인류 구원을 "파스카 신비 곧 당신의 복된 수난과 죽은 이들 가운데서의 부활과 영광스러운 승천으로써 완성하셨다. 이렇게 친히 죽으심으로써 우리의 죽음을 이기시고, 친히 부활하심으로써 우리의 생명을 되찾아주셨던 것이다"(전례헌장 5).
3. 성사(聖事) ◈ 성사란 무엇인가?
◈ 성사는 몇 가지가 있는가? '성사'라는 말은 '신비'(mysterion)라는 그리스어에 해당하는 라틴어 사끄라멘뚬(Sacramentum)에서 온 말로서,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죽으심과 부활로써 얻어진 풍요한 은총과 진리를 교회를 통하여 인간에게 주실 때 사용하는 눈에 보이는 표지들을 가리킨다. 신약에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가 세우신 일곱 가지 성사가 있다고 교회는 선언한다. 그 일곱 가지 성사는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혼인성사이다
4. 성사가 유효하기 위한 조건 성사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조건이 있다. 성사는 신앙의 표지이고 그리스도에게 순종하는 행위이므로, 그리스도가 지정하여 교회에 맡긴 표지 외의 다른 것을 마음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물질적 표지가 가지는 효력은 그리스도의 수난과 배려에서 나오는 것이다. 성사 집행이 그리스도의 구원 행위가 되려면 교회 안에서 성실히 이행되어야 한다.
5. 준성사(準聖事)
교회에서는 성사를 받는 사람에게 그것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집행되기 위해 그 성사에 부속된 예절을 정하고 있다. 이 예절로써 성사를 받는 사람에게 성사의 거룩함과 귀중함을 구체적으로 가르쳐 주고, 그 마음에 합당한 믿음과 사랑을 자아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절이 준성사이다.
|
'[♡ 자유와 평화 ♡] > 가톨릭 基本敎理'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그리스도와 기도생활 (0) | 2011.06.02 |
---|---|
28. 개인기도와 전례기도 (0) | 2011.06.01 |
30. 세례성사 (洗禮聖事) (0) | 2011.05.30 |
31. 견진성사 (堅振聖事) (0) | 2011.05.29 |
32. 성체성사 (聖體聖事) (0) | 201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