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비오의 쉼터

50 ). 도봉산( 다락능선-자운봉) 2007. 2. 28. 본문

[♡ 나의 발자취 ♡]/▶山行

50 ). 도봉산( 다락능선-자운봉) 2007. 2. 28.

자유인ebo 2007. 3. 2. 23:46

 

 

 

 

 

도봉산(다락능선- 자운봉- 도봉산매표소) 2007. 2. 28.

        위    치 : 서울 도봉구 도봉동 , 경기 의정부시, 양주군 장흥면

 

           북한산국립공원내 동북쪽에 있는 '도봉산'은 최고봉인 자운봉(739.5m)을 비롯하여

           만장봉, 선인봉, 주봉, 오봉, 우이암 등의 암벽이 아름답기로 이름난 산인데 특히,

           선인봉 암벽 등반코스로는 박쥐코스 등 37개 코스가 개척되어 있다.

           북한산 및 도봉산 지역의 60여 개 사찰 중 제일 오래된 건축물인 '천축사'를 비롯

           하여 망월사, 회룡사 등의 절과 도봉계곡, 송추계곡, 오봉계곡, 용어천계곡 등 아

           름다운 계곡을 안고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여 서울시민이나 근교 주민들에게 더없

           이 인기있는 하루 등산지이다.     <자료: 한국관관공사>

      

 

도봉산 개념도

 

 

원도봉 매표소

 

 

 

난파선바위

 

 

 

망월사 전경

 

           도봉산 망월사(104)

                                         손 정 모


           살다가 가슴

           사무치게 답답한 날이면

           훌쩍 길을 떠나

           도봉산에 오른다.


           설움 때때로 추스르면서

           산길 하염없이 오르노라면

           망월사의 경내에 이른다.


           빼어난 지형 지세

           어찌 그리도 절묘할꼬

           전각마다 명당이요

           불탑마다 요새이다.


           불당의 휘늘어진 추녀마다

           산기운 선율처럼 휘감기는데

          눈길, 도봉산의 능선에

           머물 때마다


           탈속의 염원

           내밀한 가슴속으로

           산그늘처럼 실린다.

 

 

 

팔부능선의 쉼바위

 

  

 

도봉산 정상부

 

 

 

다락능선에서 본 포대능선의 암벽

 

 

  

선인봉

 

             도봉산(道峰山) 

                                                    최 진 연


           보라, 저 굳센 서울의 남근을

           무성한 음모의 숲 위로

           말뚝처럼 하늘에 박혀 있는


           유독 크고 흰 부리

           푸른 날개 좍 펴고 떠 있는

           검독수리 한 마리


           어느 비 오는 날은

           지우산을 쓴 여인이

           겸제의 산수화 속으로 걸어들고.


           어디로 날아가는가,

           산자락 끝에 무허가로 매달린

           움막들의 지친 한숨소리를 싣고서.

 

 

포대정상에서 자운봉간의 기암들

 

 

 

다락능선

 

 

 

포대능선과 좌측 사패산

 

 

 

자운봉 가는 험로(암벽길)

 

 

           도봉산에 고래가 산다면

                                             김 종 제


           도봉산에

           고래가 산다.......면 좋을텐데

           희망으로

           거대하게 부풀어 오른

           저 미끈한 몸뚱어리를 타고 앉아

           깊은 세상 속을 가르며

           자맥질로 여기저기 숨구멍도 내면서

           무어 거칠 것도 없이

           꽃 피는

           봄으로 돌진해 갈 수 있을텐데

           계곡의 큰바위, 산봉우리 하나마다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귀신고래.......라면 좋을텐데

           한 번씩 세상밖으로 숨쉬러 나왔다가

           햇살 같은 분수

           하늘 높이 쏘아 올리면

           원시原始의 창을 세게 던져 잡아

           한 해 너끈하게 지낼

           식량 같은 봄을 얻을 수 있겠는데

           어미의 젖 배불리 먹은 도봉산에

           살이 오르고

           뼈가 튼튼해진

           고래가 살고 있다........면 좋을텐데

           농부의 풍작豊作 같고

           어부의 만선滿船 같은

           저 넉넉한 마음 닮은

           귀신 고래가 살고 있다........면

           바다 깊은 도봉산에서 살아갈텐데

           봄으로 내가 살아갈텐데


 

매바위

 

 

 

지붕바위

 

 

 

도봉산 정상(자운봉)

 

           찬밥

                                      김 종 제


           도봉산 자운봉에 앉아

           찬밥을 먹는다

           생이 문득 식은 밥 같아서

           때로는 이렇게 목이 메인다

           죽처럼 술술 넘어가지 못하고

           가파른 바위 고갯길에 걸려

           울컥, 눈가에

           이슬인지 빗물인지 매달려있다

           절절 끓는 방 아랫목

           이불 속에 밥 한 그릇 데워놓고

           탕자 돌아오길 기다렸던

           어머니, 산이 그립다

           늦은 밤까지 문밖 울타리에 선

           어머니의 손과 발이

           북쪽 매서운 바람에 차갑다

           애타는 품속이

           부글부글 활화산이다

           도시락만한 해가 뜨면

           어제 남은 밥

           돌덩어리를 씹어 녹이며

           마음의 먼 바다로 흘러보내는

           저 도봉산 같은 어머니

           닿으면 무엇이든지 뜨거워지므로

           정수리부터 발가락 끝까지

           계곡의 얼음 다 녹여주고

           한 걸음에 다가와

           찬 밥 먹지 말아라 하면서

           뜨거운 물 한 잔

           건네주시는 어머니, 저 도봉산

 

 

 

선인봉

 

 

 

신선대

 

            도봉산과 나 사이에

                                                      목 필 균


           아득히 산은 그렇게 서 있다

           도봉동과 종암동 사이

           그 거리만큼 떨어진 채로

           사계절을 무심히도 밟아왔다


           아파트 숲 사이로

           빼곰이 보이는 만장봉

           맑은 날에는 걸려있는 구름도 있다

           보이고 보이지 않고

           떨어져 있고 떨어져 있지 않고

           마음의 폭이 좁아지고 멀어지고

           천축사 풍경소리는 여전하다


           아득한 산은

           아침마다 내게 종을 울리고

           먹물 같은 밤을 씻겨내듯

           햇살로 버무린 식탁에 하루를 담는다


           비우라는 불심 속에

           채워지는 욕심을 누르며

           불심도 욕심도 아닌 발걸음을

           언제나 그 자리에서

           지켜보는 그가 있다


 

 

 

-  도봉산에서, 2007. 2. 28. eb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