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묵시록
- 얼레지
- 사무엘기 상권
- 잠언
- 열왕기 상권
- 구약성경 시편
- 강산
- 사무엘 상
- 사도행전
- 민수기
- 야생화
- 백두산
- 집회서
- 사무엘 하
- 천주교를 알립니다.
- 가톨릭 기본교리
- 욥기
- 노루귀
- 이사야서
- 역대기 상권
- 복수초
- 예레미야서
- 사무엘기 하권
- 백두산 야생화
- 열왕기 하권
- 요한 묵시록
- 여호수아기
- 신명기
- 역대기 하권
- 에제키엘서
- Today
- Total
비오의 쉼터
축령산(남양주 수동면, 2010. 7. 30.) 본문
축령산(祝靈山) 879m.
위 치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외방리, 가평군 상면
축령산은 소나무와 잣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남이장군의 전설이 깃든 남이바위, 수리바위 등의 기
암이 있다. 가평팔경 중의 제7경인 축령백림이 이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수도권의 하루 등산 코스로 적합하다.
축령산은 서울에서 가까운 거리이고 산세도 수려하지만 주변의 천마산, 운악산 등의 가리워 비교적 한적하다. 정
상은 암봉이며 정상에서 전자동 마을로 이어지는 능선길은 전망이 좋으며 아기자기한 산행을 즐길 수 있다. 축령
산 기슭에 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있다. 축령산이 자연휴양림으로 이름나 있는 것은 국내 최대로 알려진 잣나무숲
덕분이다.
해방전에 산자락을 빙 둘러 심어놓은 손가락 굵기의 잣나무 묘목들이 60여년이 지난 지금은 한아름으로 자라 송
진향 그윽한 휴양림이 된 것이다. 축령산 자연휴양림에는 통나무집 산막, 야영장, 취사장, 어린이 놀이터, 물놀이
장, 전망대, 휴게소, 잔디 광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일가족이 쉬기에 알맞다. 작은 폭포들이 이어진 두멍안골
계곡의 운치도 빼어나다.
- 출처: 한국의 산하 -
▲ 축령산 정상 - 무더위와 장마로 인하여 안개가 자욱한 정상 모습이다.
▲ 제 1주차장에서 산림욕장과 야영장이 있는 곳으로 계속 올라가서 처음 만나는 수리바위능선이다.
▲ 능선에서 잠시 쉬며 물 한 모금 마시고, 수리바위로 향하는 능선길의 모습이다.
▲ 수리바위 - 멀리서 보면 독수리의 부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실제로 이 바위에 얼마전까지 바위
틈에 독수리 부부가 둥지를 틀고 살았다고 한다.
▲ 수리바위위에 바닥을 기는 소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여기에 새 한마리가 날아왔다. 박새가 아닐까 짐작한다.
▲ 멀리 마을이 보이나 안개로 인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 능선길은 대부분 암릉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안개만 아니면 주변 조망이 아주 좋을 듯 하다.
▲ 안개가 짙어서 거의 물방울에 가깝다. 주위가 아주 습한 탓에 이름 모를 버섯들이 잔칫판을 벌리고 있었다. ▼
▲ 이 버섯들은 아무리 봐도 식용은 아닌듯 하다.
▲ 밀려오는 안개 언덕
▲ 이 철쭉 꽃나무가 등산객들의 발길에 얼마나 더 버틸지 궁금해진다.
▲ 남이바위 - 이 바위는 조선시대 세조때 명장이었던 남이장군이 유비무환의 정신으로 난국에 대비하기 위하여 한성의 동북방 요충지인
이곳 축령산에 자주 올라 지형지물을 익혔고, 산에 오르는 날이면 이 바위에서 휴식을 취하였다 하여 그 후 부터 이 바위를 '남이바위'라
불렀다고 한다.
▲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이정표와 10여 미터 좌우의 나무들 뿐이다.
▲ 이 난간 아래 풍경이 너무나 궁금하다 그러나 볼 수가 없다. 이놈의 안개 때문에...
▲ 정상에 도착하니 국기봉이 있고 태극기가 펄렁인다. 여기서도 조망은 어렵다.
▲ 이정표를 따라 서리산 방향으로 내려가서 절고개에서 잔디광장으로 하산 했다.
▲ 사람 없는 장디광장에 빈 집만이 우리를 반긴다. 맑은 날 다시 찾아야 겠다는 생각을 담고 주차장으로 향했다.
* 축령산에서 2010. 7. 30. 자유인ebo *
'[♡ 나의 발자취 ♡] > ▶山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락산( 서울, 2010. 12. 18.) (0) | 2010.12.28 |
---|---|
대둔산( 완주,금산, 2010. 10. 17.) (0) | 2010.10.26 |
설악산 울산바위(강원 속초시, 2010. 6. 20.) (0) | 2010.06.23 |
용문산(경기 양평군, 2010. 5. 17.) (0) | 2010.06.17 |
남산(서울, 2010.1.20.) (0) | 201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