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욥기
- 묵시록
- 사무엘 하
- 가톨릭 기본교리
- 백두산 야생화
- 민수기
- 백두산
- 사도행전
- 요한 묵시록
- 예레미야서
- 집회서
- 역대기 하권
- 열왕기 하권
- 야생화
- 사무엘 상
- 신명기
- 구약성경 시편
- 복수초
- 여호수아기
- 사무엘기 하권
- 에제키엘서
- 강산
- 얼레지
- 사무엘기 상권
- 이사야서
- 노루귀
- 열왕기 상권
- 역대기 상권
- 천주교를 알립니다.
- 잠언
- Today
- Total
비오의 쉼터
문무대왕 수중릉과 갈매기(2014.12.02. 경주) 본문
문무대왕[文武大王] 수중릉과 갈매기(2014.12.02. 경주)
사적 제158호.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은 자신이 죽으면 불교식으로 화장한 뒤 유골을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유언을 남겼다. 681년 문무왕이 죽자 유언에 따라 화장한 유골을 동해의 큰 바위에 장사지내고, 그 바위를 대왕암(大王巖)이라고 불렀다. 바위는 둘레가 200m쯤 되는 천연 암초인데 사방으로 바닷물이 드나들 수 있는 물길을 터놓아 언제나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이 물길은 인공을 가한 흔적이 있고, 안쪽 가운데에 길이 3.7m, 높이 1.45m, 너비 2.6m의 큰 돌이 남북으로 길게 놓여 있어 이 돌 밑에 문무왕의 유골을 묻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다 수면은 이 돌을 약간 덮을 정도이다. 한편 바위의 안쪽 가운데에서 사방으로 물길을 낸 것은 부처 사리(舍利)를 보관하는 탑의 형식을 적용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682년(신문왕 2) 양북면 용당리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어 불력(佛力)에 의해 왜구를 막으려 했는데, 〈삼국유사〉에는 감은사의 금당 아래를 깎아 동해로 구멍을 내어 해룡이 된 문무왕이 드나들 수 있도록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음백과-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바다에 있는 신라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
▼ 경주 보문단지 고개를 넘어 서면서 저수지 뚝에서 만난 노박덩굴
귀경길 북대구 쯤에서 차창밖으로 본 일몰
'[♡ 나의 발자취 ♡] > ▶여행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안읍성 민속마을(2015.1.12. 순천 낙안읍) (0) | 2015.01.15 |
---|---|
수락산(2015.1.6.) (0) | 2015.01.09 |
읍천 주상절리(2014.12.02.경북) (0) | 2014.12.13 |
강양항 일출(2014.12.02.경남) (0) | 2014.12.13 |
월류정(2014.11.18.충북) (0) | 2014.11.23 |